브랜드 디자이너 찬교님은 센티언스와 텐투플레이 브랜드 디자인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샌프란시스코에서 광고 디자인학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크리에이티브 에이전시에서 디지털 디자이너로 근무하였으며, 에이전시에서 Google과 YouTube를 메인 클라이언트로 다룬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Sentience와 TentuPlay의 브랜딩 작업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상에서 광고식별자 수집을 거부할 수 있도록 정책이 변함에 따라, 게임 업계에서도 유입된 사용자를 게임 내에서 최대한 오랫동안 플레이하도록 하고 결제를 유도하는 것이 더 중요해지면서 인게임 CRM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인게임CRM*은 유입된 사용자가 이탈하지 않고 계속해서 플레이할 수 있도록 게임이 가진 문제와 사용자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빠르게 해결하여 게임의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인데요. 하지만 게임사들은 게임이 가진 문제를 파악하고도 데이터 분석이 어렵거나 게임을 추가 개발하는 것에 대한 리소스가 ...
커스텀 지표 기능 상세 애널리틱스에 커스텀 지표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커스텀 지표 : 특정 사용자의 특정 이벤트 발생 지표를 의미합니다.
게임 사용자 세분화란 무엇인가요? 게임을 관리하기 위해선 우선 현재 게임이 어떤 상태인지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지표가 필요합니다. 때문에 게임 출시 이후에 대부분 데이터 분석 툴을 이용해서 활성 사용자 수, 잔존율, 매출 관련 지표들을 보면서 게임의 상태를 파악합니다. 이때 만약 현재 매출보다 더 많은 매출을 내야하는 임무를 부여받는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더 많은 사용자를 유입시키는 것도 방법이겠지만 집행할 수 있는 광고비 예산이 적거나 광고비 대비 수익률이 좋지 않은 상황이라면 유입된 사용자 중 특별히 매출이 잘 나오지 ...
게임 개선을 잘 한 곳의 예시 게임사의 사업 팀은 대규모 이벤트를 통해 평소 매출의 몇 배 이상을 낼 수 있기 때문에 파급력이 큰 이벤트를 많이 기획하곤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이벤트의 효과는 일시적인 것이며 이벤트 기간을 제외한 기간에는 오히려 매출이 평소보다 저조해지거나 게임의 전체적인 밸런스를 해치는 등의 부작용을 낳기도 합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게임을 이용하도록 이탈 지점을 찾아 UX를 최적화하는 것과 게임을 하는 동안 필요한 아이템을 적절하게 구매하도록 유도하여 게임을 더 즐겁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
Chapter 1. 게임 로그의 기본은 '육하원칙' Chapter 2. 게임 로그 시스템 설계 4단계 Chapter 3. 게임 로그 시스템 최적화하기 Chapter 4. 좋은 게임 로그 시스템을 위해 알아야 할 3가지